로고

KBS 노동조합
노동조합 가입서 익명게시판
  • 성명서
  • 성명서

    성명서

    16대성명서 [쟁대위 투쟁지침 제 4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85회   작성일Date 22-09-20 14:56

    본문

    [쟁대위 투쟁지침 제 4호]


         

       본부노조는 앞으로는 연대투쟁을 외치면서 실제로는 우리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한 무차별적인 탈퇴와 가입 종용을 통해 KBS노조 파괴 작업에 혈안이 돼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우리를 동지로 생각하기 보다는 연말까지는 교섭대표노조인 만큼 적당히 이용하고 버리겠다는 의도인 것도 명백해졌다. 본부노조는 얄팍한 조합원 수 늘리기에 눈이 멀어 ‘강고한 연대투쟁을 통한 고대영 퇴진의 절호의 기회’를 스스로 걷어찼다.

         

       우리 조합원들과 무노조원들을 향한 본부노조 일부의 무차별적인 모욕적 언사와 문자 폭탄, 집단 따돌림 행태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다. 사실상 범죄행위나 마찬가지다. 지금 본부노조의 행태는 공정방송을 외치다 탄압받고 억압받던 약자의 모습이 아니라 정권의 든든한 지원에 도취돼 무소불위의 힘을 자랑하고 휘두르는 야만의 모습일 뿐이다. 조합은 이런 피해 사례들을 낱낱이 수집해 법적 대응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하게 응징할 것이다.

         

       믿었던 문재인정권마저 집권 후에는 방송법 개정 의지가 사라지고 있음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조합은 현 정부.여당도 ‘청와대 낙하산’을 공영방송에 꽂겠다는 의도라고 규탄하고 강력한 투쟁을 선포하였다. 그러나 여권의 대선공약 파기와 방송독립 후퇴 움직임이라는 중대한 상황 변화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본부노조는 지금까지 이에 대해 어떠한 입장도 공식적으로 내놓지 않고 있다. 대선 전인 지난 2월 민주당은 방송법 개정안을 국회 최우선 처리 안건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고 본부노조는 ‘청와대 낙하산 방지법’으로 명명된 방송법 개정안이야 말로 방송독립의 핵심이라며 파업까지 벌였다. 그런데 대선 후에는 민주당이나 본부노조 모두 약속이나 한 듯 태세를 전환하고 있다. 방송법 개정 의지가 희박하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더 이상 본부노조와의 연대는 무의미하다.

         

    이에 KBS노동조합 쟁의대책위원회는 전 비대위원의 총의를 모아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1. 고대영 퇴진과 방송법 개정을 모두 관철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전략을 수립해 독자적으로 투쟁한다.

         

    2. 2017년 8월 31일과 9월 4일 각각 선도적으로 지명파업에 들어갔던 기자·피디·아나운서 조합원은 계속 파업 대오를 유지하고 2017년 9월 7일부터는 총파업으로 투쟁 강도를 높인다.

         

    3. 조합원에 대한 사측 간부 또는 다른 노조원들의 모욕적 언행과 협박, 문자 폭탄, 집단 따돌림 등의 피해 사례가 발생할 경우 즉각 노동조합 사무실로 신고한다.

         


    2017. 9. 5. 

    교섭대표노조 KBS노동조합 쟁위대책위원장

     


    추천0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