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KBS 노동조합
노동조합 가입서 익명게시판
  • 성명서
  • 성명서

    성명서

    이전성명서 [KBS노동조합성명서]‘저널리스트 문제’,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46회   작성일Date 22-09-16 15:07

    본문

    저널리스트 문제’,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지난해 11월 37기와 38기 방송저널리스트의 성명서에서 비롯된 일명 ‘저널리스트 문제’는 단순히 ‘저널리스트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당시 후배들의 요구를 보더라도 이 문제는 중앙집권화된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지역에 대한 차별 내지 배타적 구조에 근본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다 KBS의 해묵은 과제인 직종 간 갈등과 통합의 문제까지 결합된 사안이었다.

     

    ‘저널리스트 문제’는 KBS의 구조적 문제

     

    KBS노동조합은 이 사안과 관련해 지난해 11월 긴급노사협의회를 열어 가장 큰 쟁점 가운데 하나였던 평가를 통한 본사 차등 전입을 철회시킨 바 있다. 노동조합은 또, 당시 노사협의회를 통해 저널리스트 제작 공간 확대와 선순환적 순환제도 등을 포함한 향후 저널리스트 운영 관련 구체적 방안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련할 것을 재차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사측이 지난 10일 밝힌 방송저널리스트 배치계획은 위와 같은 우리의 요구에 대해 어떠한 해답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사측의 안을 보면 저널리스트 제도 정착을 위한 구체적인 그림은 고사하고 지역 제작인력의 안정적인 확보 방안도 전무하다. 그나마 내놓은 것이 오는 8월에 지역 근무 중인 저널리스트 전원을 본사로 발령 내겠다는 방안이다. 그러나 순환근무 기간을 1년 6개월로 하는 것은 전례에도 없는 일로 미봉책에 불과하다. 가장 원칙에 충실해야 할 인사가 정치적 타협으로 변질된 것이다. 과연 이것이 누구의 요구에 부응한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8월 인사 안, 미봉책이자 정치적 타협으로 매우 나쁜 선례될 것

     

    문제는 이번 인사가 가져 올 ‘매우 나쁜 선례’의 구축이다. 이번 조치로 당장 37기를 대신해 지역근무를 하게 될 38기 또한 ‘18개월 지역 방위’가 될 소지가 커졌다. 앞으로 저널리스트는 18개월 단위로 모집하는 풍경도 벌어질 판이다. 그리고 지역은 18개월 신병훈련소로 전락하게 될 터이다. 저널리스트 이외의 다른 직종은 또 어떻게 할 것인가? 직종별 특수성이 2년 이상 지역근무를 강제할 근거로 존재할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저널리스트가 아니라는 이유로 ‘울지 않은 죄’를 받아야 하는가? 정치적 타협이 가져 올 너무나 빤한 결과들이다.

     

    일각에선 전국권과 지역권을 구별 선발하는 이전 제도로 회귀함으로써 지역관련 저널리스트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 그러나 이 또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 말할 수 없다. 37기 신입사원을 모집하면서 기존의 전국권과 지역권 구별 선발 대신 전국권으로 통합 선발한 배경을 보면 이는 자명하다. 기존의 전국권과 지역권 구별 선발의 경우 ‘지역=촌’이라는 사내외 인식으로 인해 지역권역 입사자들에게 지역근무가 자부심을 부여하기 보다는 오히려 ‘주홍글씨’였음을 부정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5년 의무 근무기한이 끝나더라도 저널리스트(피디와 기자)의 경우 본인 의지에 따른 본사로의 자연스런 순환전보가 사실상 불가능했던 것 또한 주지의 사실이다. 

     

    전국권역 모집, 기존 제도 문제점 개선차원에서 나온 것

     

    선순환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즉, 지역이 신병양성소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역인력을 대폭 뽑거나 중견인력을 재순환시키는 방법 밖에 없다. 그러나 지역인력의 대폭적인 선발은 철저하게 본사 중심적인 KBS 의사결정 구조에선 아예 불가능한 일이다. 중견인력의 재순환 또한 본사 제작자들이 흔쾌히 받아들일 수 없고 지역 또한 허리를 마냥 내 줄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인력 선발방식으론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재순환을 막기 위해 등장한 논리가 ‘촌놈 지역 사수론’이며 본사 전입을 위한 유력한 카드가 ‘고충을 통한 측은지심 발동론’이 아니었던가! 이 같은 전국권과 지역권 구별 선발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나왔던 것이 바로 전국권역 모집이고 지역 우선근무였다.

     

    노동조합이 전국권역 모집 방식에 공감했던 것도 기존의 전국권과 지역권 구별 선발이 갖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책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또한 전국권 선발자의 초창기 지역 의무근무 연한을 3년 정도로 한다면 기존 지역권 선발자의 5년 의무근무와도 수렴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했다. 노동조합은 이 때문에 전국권역 모집 제도 도입 시 가장 중요한 문제인 중견인력의 재순환을 위한 지역근무 촉진룰의 시급한 마련과 지역근무 연한의 사전명시를 강력하게 촉구한 바 있다. 이 같은 대책의 불비(不備)가 가져 올 오늘의 ‘저널리스트 문제’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지역 제작 인력의 안정적 분포와 수급이 문제해결의 핵심

     

    우려는 현실이 됐다. 그렇다고 해서 전국권과 지역권 구별 선발이라는 이전 제도로 되돌리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앞서 말했듯이 재순환을 통한 선순환 구조만 만들어진다면 전국권과 지역권의 차이는 초창기 지역근무가 3년이냐? 5년이냐? 정도의 문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해결의 핵심은 지역 제작 인력의 안정적인 분포와 수급대책의 마련이다. 이는 과수요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본사 집중도의 완화에 대한 대책이기도 하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저널리스트 문제’는 신입사원을 전국권만으로 선발하는 데서 빚어진 문제가 아니라 지역 제작인력을 안정적으로 선발 유지하는 데 대한 ‘오래된 고민’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지역권역 선발의 부활을 ‘저널리스트 문제’의 근본 해답으로 제시하고자 한다면 아예 지역(총)국에 자체적인 인사권한을 전면적으로 부여하는 방식으로까지 제도를 변경해야 한다. 전국권을 유지하지 못할 바에는 차라리 지역에 독자적인 인사선발권을 주고 본사는 다시 지역에서 분야별 전문 인력을 충원하는 방식으로 인사시스템을 전면 재정립해야 한다. 선진방송사들의 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본사와 지역(총)국의 역할과 위상 및 지배구조  까지를 재규정하는 등 다양한 전제들을 수반하는 만큼 다음 기회에 논의하기로 하자.

     

    해묵은 직종 문제 해결, 공감대 형성이 우선

     

    이제 직종의 문제를 보자. 직종 간 갈등이 KBS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 가운데 하나이며 이를 해소하는 것이야말로 KBS의 가장 큰 숙제라는 말, 끊임없이 반복되지만 결국은 어느 누구 하나 해답을 내 놓지 못하는 그야말로 해묵은 숙제이다. 속칭 메이저 직종이라는 고양이에 방울을 달 이가 있을까? 노동조합조차 쉬이 건드리지 못하는 문제이다. 그렇기에 저널리스트 제도는 전반적인 직종 통합문제 차원에서 우선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사전 해결방안을 모색한 가운데 시행됐어야 했다. 선진방송사는 다 그렇게 한다는 ‘선진화론’만으로 해결하기엔 너무나 큰 문제였던 것이다. 더구나 직종 선배들이 자신들의 후배임을 끊임없이 커밍아웃하도록 요구하는 상황에서 37기와 38기들로 하여금 한국방송 사상 유례가 없는 제도를 만들어 가라고 하는 게 과연 가당키나 한 일인가! 

     

    저널리스트 제도, 결자해지하고 실현가능한 방안부터 추진해야

     

    지난 10일 사측이 밝힌 안대로라면 직종부여를 1년 유보함으로 인해 이제 저널리스트 제도는 항간에 떠도는 말처럼 사장의 임기종료와 함께 폐지될 운명에 처했다. 결자해지만이 정답이다. 사장이 바뀌면 없어질 제도라는 비아냥을 받느니 차라리 김인규 사장이 직접 나서 한국적 특수성 또는 KBS 내 직종의 벽을 넘지 못했노라고 자복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그리고 그나마 논란 속에서 제기된 전직을 자유롭게 하는 방식과 지역에서부터 피디와 기자의 협업공간을 확대하는 방식이라는 실현가능한 해결책부터 우선 실시함으로써 이 문제를 점진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저널리스트 문제’는 우리 모두의 문제, 지혜 모아야

     

    KBS노동조합은 ‘저널리스트 문제’와 관련한 이번 입장에 대해 어떠한 반론과 다른 견해에도 귀를 기울일 준비가 돼 있다. 공개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면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제기한 의견과 다른 구성원들의 의견이 반영된 대안을 만들고 조만간 임시노사협의회를 열어 사측과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저널리스트 문제’는 ‘저널리스트만의 문제’가 아니다. KBS의 미래에 대한 가슴 아픈 고민이 필요한 문제이다.

     

    2012. 1. 13.

    KBS노동조합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