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대성명서 사측은 제작자율성 후퇴 꿈도 꾸지 말라!
페이지 정보
본문
사측은 제작자율성 후퇴 꿈도 꾸지 말라!
편성규약 개정에 대한 사측의 속내가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사측은 제작실무자측과 제작책임자측이 오늘 가진 편성규약 협의체에서 “조항별 의견”이라는 제목의 문건을 배포하고 각 조항별 개정안을 제시했다. 주 내용은 ▲ 제작책임자의 범위를 현행 ‘책임간부’에서 ‘보직간부’로 수정하고 ▲ 제작책임자의 권한을, 제작실무자의 의무를 추가하는 것이다.
명백한 제작자율성 후퇴...절대 받아들일 수 없어
조합은 편성규약 협의체 구성에 앞서“향후 진행될 편성규약 개정에 관련된 모든 논의는 모든 직종에 대해 제작자율성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방향이어야 한다”고 분명히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시 한 번 밝혀 둔다. 제작자율성 확대를 위한 논의만 있을 뿐, 후퇴를 위한 논의는 없다. 제작책임자측이 내놓은 안은 구구절절 반박할 필요도 없이 명백히 제작자율성 후퇴를 불러오는 안으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당장 이 같은 안 철회하고 제작자율성 강화 방안 논의하라!
제작실무자측은 오늘 협의체에서 이 같은 안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또한 편성규약 개정 논의는 제작자율성 확대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고 재차 확인했다. 이에 대해 제작책임자측은 이러한 안이 단지 의견일 뿐 확정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우리는 요구한다. 제작책임자측은 당장 이 같은 안을 철회하고 제작자율성 확대를 위한 방안을 다시 고민하라!
조합 동의 없는 개정 못해...제작자율성 확대 반드시 쟁취할 것
방송법 제 4조 4항은 편성규약 제정의 목적을 “방송프로그램제작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라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작금의 편성규약 개정 논의는 반드시 제작자율성 확대를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 또한 조합 동의 없이는 절대 편성규약을 개정할 수 없음을 다시 한 번 밝혀둔다. 조합은 공영방송 KBS의 제작자율성은 기자와 피디뿐만 아니라 제작에 관여하는 모든 직종으로 확대되어야 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 조합은 이번 편성규약 개정 논의를 통해 반드시 제작실무자의 권한 강화와 제작자율성 확대를 관철할 것이다.
2016. 10. 28.
교섭대표 KBS노동조합
- 이전글언론장악 의혹 철저히 파헤치고 방송독립 보장하라! 22.09.20
- 다음글사라지는 KBS뉴스...‘최순실 농단’ 똑바로 보도하라! 22.09.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